아크랑스 ACRANX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아크랑스 ACRANX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N
    • NEWS
    • 오늘의탄생화
    • 좋은 글
    • 고사성어(故事成語)
    • 오늘의 시(詩) N
    • 탈모 관리
    • 멋진 글
    • 어록
    • 사설 칼럼
    • 아하, 그렇군요!
    • 책(冊)보세(一週一冊)
    • 유 머
    • 식약동원(食藥同源)
    • 건 강
    • 일 상
    • 산 행
    • 이벤트
    • 쇼 핑
    • 판촉 특판

검색 레이어

아크랑스 ACRANX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고사성어

  • 염염요여림전일(念念要如臨戰日)

    2017.06.13 by hitouch

  • 보화용지유진 충효형지무궁(寶貨用之有盡 忠孝亨之無窮)

    2017.06.10 by hitouch

  • 강량자부득기사(强梁者不得其死)

    2017.06.07 by hitouch

  • 부형청죄(負荊請罪)

    2017.06.01 by hitouch

  • 지자불위비기사(智者不爲非其事)

    2017.05.30 by hitouch

  • 사불삼사 종후회(事不三思 終後悔)

    2017.05.29 by hitouch

  • 부무경업(富無經業)

    2017.05.24 by hitouch

  • 영소행이교기민, 즉민복(令素行以敎其民, 則民服)

    2017.05.22 by hitouch

염염요여림전일(念念要如臨戰日)

念念要如臨戰日(염염요여림전일) 생각하는 것은 항상 싸움터에 나아갔을 때와 같이 하고, 心心常似過橋時(심심상이과교시) 마음은 언제나 다리를 건널 때와같이 조심해야 한다. - 명심보감_ 存心篇(존심편) -

고사성어(故事成語) 2017. 6. 13. 08:05

보화용지유진 충효형지무궁(寶貨用之有盡 忠孝亨之無窮)

寶貨用之有盡 忠孝亨之無窮(보화용지유진 충효형지무궁) 보물은 쓰면 없어지지만 충성과 효도는 할수록 끝이 없다. - 경행록(景行錄) -

고사성어(故事成語) 2017. 6. 10. 00:20

강량자부득기사(强梁者不得其死)

强梁者不得其死(강량자부득기사) 순리대로 일을 풀어나가지 않고 오로지 힘과 강압으로만 일을 해결하려고 하면 끝이 좋지 않을 수밖에 없다. - 노자_ 도덕경 - 노자가 살던 춘추전국시대에 오로지 힘과 억압으로 백성들에게 군림하려 했던 당시의 제후들에게 노자가 던진 충고의 메시지. “무조건 강하게 밀어붙이면 당장 성과가 날지 몰라도 반드시 부작용이 생기게 마련이다.”

고사성어(故事成語) 2017. 6. 7. 08:50

부형청죄(負荊請罪)

負荊請罪(부형청죄) 가시나무로 만든 매를 등에 지고 지은 죄에 대하여 용서를 빌다. 즉,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상대에게 용서를 비는 것'을 의미. - 史記(사기)_ 염파인상여열전 - 진나라가 패권을 쥐고 있던 전국시대 말, 약소 국가였던 조(趙)나라 혜문왕에게는 용감한 장군 염파(廉頗)와 외교술이 뛰어난 인상여(藺相如)가 있었다. 인상여가 외교적으로 많은 공로를 세우자 혜문왕은 그에게 상경(上卿)이라는 높은 관직을 주었다. 염파는 이에 대하여 불만스러웠다. 왜냐하면 자신은 전쟁에서 목숨을 걸고 싸워 관직을 얻었는데, 인상여는 오로지 언변으로 자신보다 높은 직위에 올랐기 때문이다. 게다가 인상여는 본래 신분도 천했는데 자신보다 직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염파는 인상여를 만나게 되면 반드시 창피를..

고사성어(故事成語) 2017. 6. 1. 07:53

지자불위비기사(智者不爲非其事)

智者不爲非其事(지자불위비기사) 지혜로운 이는 제 일이 아니면 하지 않으며, 廉者不求非其有(염자불구비기유). 청렴한 이는 제 것이 아니면 구하지 않는다. - 한(漢)의 한영_ 한시외전(韓詩外傳) - 총명하면 하지 말아야 할 일과 할 수 없는 일을 잘 분별한다. 그래서 그런 일을 하지 않는 지혜를 가진다. 또 자신의 몫이 아닌 것도 잘 분별한다. 그래서 그런 것을 욕심내지 않고 청렴함을 유지한다. 지혜로운자는 그렇게 제 일에 충실하고 제 몫에 만족하며, 그로써 화를 멀리하고 명예를 지켜낸다. 반대로 어리석은 이는 어두운 눈과 어두운 귀로 단지 의욕과 욕심만으로 제 일과 제 몫의 한계를 넘는다. 그래서 결국은 화(禍)를 초래하고, 이름을 더럽히게 된다.

고사성어(故事成語) 2017. 5. 30. 20:30

사불삼사 종후회(事不三思 終後悔)

事不三思 終後悔(사불삼사 종후회) 일에 있어서 세번 생각하지 않으면 마침내 후회가 있고, 人能百忍 自無憂(인능백인 자무우) 사람이 능히 참으면 스스로 근심이 없다 醉中不語 眞君子(취중불어 진군자) 술 취한 가운데 말이 없는 것은 참 군자요, 財産分明 大丈夫(재산분명 대장부) 재물 관계에 분명한 것은 대장부다. - 明心寶鑑(명심보감) -

고사성어(故事成語) 2017. 5. 29. 08:42

부무경업(富無經業)

富無經業(부무경업) 부자가 되는 데 정해진 직업은 없다는 뜻, 돈을 버는데는 직업에 귀천이 없고 돈은 정해진 주인이 없어서 열심히 노력하고 능력을 발휘하면 돈이 몰려들지만, 이런 저런 이유로 직업을 가리고 최선을 다하지 못하는 사람은 결국 돈에서 멀어 질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 사기_ 화식열전(貨殖列傳) - 富無經業 貨無常主(부무경업 화무상주) 부자가 되는 데는 직업의 귀천이 없고 돈은 일정한 주인이 없다. 能者輻湊 不肖者瓦解(능자폭주 불초자와해) 능력이 있는자는 돈이 그에게로 폭주하여 몰려 들것이요, 이런저런 직업을 따지는 자는 결국 가진 돈마저 와해되고 말 것이다. 安居樂業(안거낙업) 내가 살고 있는 곳이 세상에서 가장 편하고 내가 종사하고 있는 이 직업이 세상에서 가장 즐거운 직업이다.

고사성어(故事成語) 2017. 5. 24. 21:51

영소행이교기민, 즉민복(令素行以敎其民, 則民服)

令素行以敎其民, 則民服(영소행이교기민, 즉민복), 장수가 명령을 엄격하게 이행하도록 교육시키면, 병사들은 마음으로 복종하게 된다. 令不素行以敎其民, 則民不服(영불소행이교기민, 즉민불복). 장수가 명령을 엄격하게 이행하도록 교육시키지 않으면, 병사들은 마음으로 복종하지 않는다. 令素行者, 與衆相得也(영소행자, 여중상득야). 장수의 명령이 엄격하게 이행되도록 하는 길은 장수가 병사들과 한마음 한뜻이 되어 병사들의 마음을 얻는 데에 있다. - 손자병법_ 行軍篇(행군편) - 병사들이 장수와 미처 친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병사들의 작은 잘못을 처벌하면, 병사들은 그 장수에게 마음으로 복종하지 않으며, 마음으로 복종하지 않는 병사들을 지휘하여 적과 싸운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장수와 이미 친숙해진 뒤에 병사들..

고사성어(故事成語) 2017. 5. 22. 08:3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TISTORY
아크랑스 ACRANX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