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랑스 ACRANX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아크랑스 ACRANX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N
    • NEWS
    • 오늘의탄생화
    • 좋은 글
    • 고사성어(故事成語)
    • 오늘의 시(詩) N
    • 탈모 관리
    • 멋진 글
    • 어록
    • 사설 칼럼
    • 아하, 그렇군요!
    • 책(冊)보세(一週一冊)
    • 유 머
    • 식약동원(食藥同源)
    • 건 강
    • 일 상
    • 산 행
    • 이벤트
    • 쇼 핑
    • 판촉 특판

검색 레이어

아크랑스 ACRANX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아하, 그렇군요!

  • 죽음

    2018.10.16 by hitouch

  • 장마의 어원

    2018.09.03 by hitouch

  • 왼손잡이의 날

    2018.08.13 by hitouch

  • 성공

    2018.06.13 by hitouch

  • 걱정

    2018.06.02 by hitouch

  • 튜닝 (tuning)

    2018.05.15 by hitouch

  • 샌드위치(sandwich)의 유래

    2018.05.14 by hitouch

  • Campaign(캠페인)

    2018.05.08 by hitouch

죽음

죽은 자는 정의에 호소할 수 없다. 그것은 죽은 자를 위해 산 자가 해야할 일이다. The dead cannot cry out for justice; it is a duty of the living to do so for them. - 로이스 맥마스터 부욜(Lois McMaster Bujold) -

아하, 그렇군요! 2018. 10. 16. 00:02

장마의 어원

"장마​"의 어원이 "길 장[長]"에, 물의 옛말인 "마ㅎ"가 합해져 이루어 졌다고 한다. (장마 표현의 변천 : 오란+비 →長 + 마ㅎ → 댱마ㅎ → 쟝마 → 장마) 관북지방 갑산(甲山) 색시들이 짧은 장마에 마(麻)가 자라지 않아 애타는 심정으로 "마(摩)야, 길어라(長)"하며 눈물 흘린 말에서 나왔다는 설도 있다. 장마가 짧으면 관북 지방 갑산(甲山)의 색시들은 삼(麻)대를 흔들며 눈물을 흘린다. 비가 덜 내리면 삼이 덜 자라고, 흉마(凶麻)가 되면 삼베 몇 필에 오랑캐에게 팔려가야 하기 때문이다. 장마를 일본에서는 바이우(梅雨)라고 하고, 중국에서는 메이유(梅雨)라고 한다. 중국과 일본이 발음은 약간 다르지만 한자의 뜻은 똑같다. 양국 모두 매화(梅花)의 ‘매(梅)’자를 쓴다. 일본이나 중국에서 ..

아하, 그렇군요! 2018. 9. 3. 10:07

왼손잡이의 날

8월13일은 왼손잡이의 인권을 신장하고 왼손 사용의 편견에 대한 인식 변화를 추구할 목적으로 제정된 세계 왼손잡이의 날.라틴어로 왼손잡이를 뜻하는 ‘sinister’는 ‘흉하다’ ‘불운’을 뜻하나, 오른손잡이를 일컫는 ‘dexter’는 ‘알맞다’ ‘능숙하다’는 뜻을 갖고 있다.영어 ‘right’ 역시 ‘옳다’ ‘권리’ 등 긍정적 의미를 지닌 반면 ‘left’는 ‘무시된다’는 뜻을 암시한다. 왼손잡이는 전 세계 인구의 10% 정도 차지한다. (한국은 5.8%) 생활 속에서도 불편함은 많다. 컴퓨터 마우스, 가위, 식판, 스프링 노트, 자동차 기어, 버튼 회전(음악 볼륨, 병뚜껑 딸때) 사용 할때 등등... 또 대학 강의실 책상의 손 받침은 오른쪽에 달려있고, 카메라 셔터나 지하철역 개찰구도 오른쪽에 위치해..

아하, 그렇군요! 2018. 8. 13. 09:02

성공

성공은 종종 실패가 불가피하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들에 의해 달성된다. Success is often achieved by those who don't know that failure is inevitable. - 가브리엘(코코)샤넬(Gabriel Coco Chanel) -

아하, 그렇군요! 2018. 6. 13. 00:04

걱정

If you worry yourself away, you won't be worried. 걱정을 해서 걱정이 없어지면 걱정이 없겠네. - 티벳 속담(Tibet proverb) -

아하, 그렇군요! 2018. 6. 2. 00:03

튜닝 (tuning)

Tuning은 정밀한 조정 등을 의미한다. 이는 유목민들의 악기에서부터 나왔다고 한다. 말을 타며 활을 쓰는 유목민들은 줄의 길이와 장력에 따라서 다른 음이 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유목민은 '마두금'이라는 악기를 만들었다. 우리가 알듯 유목민은 아주 강력하여 유럽, 아시아를 가리지 않고 모든 방향으로 영토를 넓혀 갔다. 이는 1200년대에 아랍을 통하여 이탈리아에 까지 전하졌고, 마두금은 아마티라는 목공의 손에서 현대식 바이올린으로 바뀌었다. Tone은 줄을 잡아 당겨 소리나는 것을 말하였는데 이 소리를 맞추는 것을 Tuning이라고 하게 되었고 더 나아가 정밀조정이란 의미를 얻게 되었다. 옛날 유럽 사람들은 사람의 근육도 바이올린의 현처럼 팽팽하게 조여져 있어야지 풀어지거나 늘어지면 병..

아하, 그렇군요! 2018. 5. 15. 07:51

샌드위치(sandwich)의 유래

18세기 중반 J.M. 샌드위치 백작이 카드 놀이에 빠져 있을 당시, 밥 먹는 시간도 아까워 빵 속에 고기를 끼워 넣은 후 먹은 것에 유래된 샌드위치는 영국이 낳은 세계적인 음식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18세기 말 샌드위치가 미국에 전파되면서 미국인들의 식사로 자리잡게 되었다. 흔히 샌드위치는 미국의 대표 음식이라고 알고 있지만, 원래 샌드위치는 영국 음식이다. 샌드위치를 만드는 빵은 하루 묵은 빵이 적합하고 토스트용보다 얇게 썬다. 도시락이나 가벼운 식사용으로는 빵의 두께가 1cm전후, 티와 칵테일용으로는 5∼6mm, 파티용으로는 3mm로 써는 것이 상식이라고 한다.

아하, 그렇군요! 2018. 5. 14. 07:45

Campaign(캠페인)

고대 로마인들은 숲으로 뒤덮이지 않은 평평한 지대를 Campus(캠퍼스)라고 불렀다. 생산적인 사고방식을 가졌던 로마인들은 탁 트인 평지를 보면서 두 가지 생각을 했다. 첫 번째는 당연히 농사짓기에 좋을 것이라는 생각이었고, 두 번째는 전투하기 유리한 지형이라는 생각이었다. 전투가 벌어질 경우, 로마 군대의 장비와 작전은 넓게 펼쳐진 평야에서 가장 유리했다. 로마 장군들은 숲에서 적군에게 기습당하는 것을 두려워했다. 그래서 전쟁터에 나가면 탁 트인 평야 캠퍼스에 텐트를 치고 병사들을 재웠다. 이 때문에 오늘날까지 텐트 치고 자는 것을 Camping(캠핑)이라고 부른다. 로마 군대는 일단 움직이기 시작하면 그들에게 유리한 지형인 평지, 즉 캠퍼스로 나가 적군을 맞았다. 그래서 작전을 전개하는 것은 Camp..

아하, 그렇군요! 2018. 5. 8. 08:0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15
다음
TISTORY
아크랑스 ACRANX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