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랑스 ACRANX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아크랑스 ACRANX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N
    • NEWS
    • 오늘의탄생화
    • 좋은 글
    • 고사성어(故事成語)
    • 오늘의 시(詩) N
    • 탈모 관리
    • 멋진 글
    • 어록
    • 사설 칼럼
    • 아하, 그렇군요!
    • 책(冊)보세(一週一冊)
    • 유 머
    • 식약동원(食藥同源)
    • 건 강
    • 일 상
    • 산 행
    • 이벤트
    • 쇼 핑
    • 판촉 특판

검색 레이어

아크랑스 ACRANX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고사성어(故事成語)

  • 의려지망(倚閭之望)

    2018.05.08 by hitouch

  • 언청계종(言聽計從)

    2018.05.04 by hitouch

  • 교병필패(驕兵必敗)

    2018.05.02 by hitouch

  • 불협장 불협귀 불협형제 이우(不挾長 不挾貴 不挾兄弟 而友)

    2018.04.27 by hitouch

  • 시안견유시 불안견유불(豕眼見惟豕 佛眼見惟佛)

    2018.04.24 by hitouch

  • 무기인야 (無棄人也)

    2018.04.20 by hitouch

  • 지족이조모 재족이립사(智足以造謀 材足以立事)

    2018.04.18 by hitouch

  • 예술

    2018.04.13 by hitouch

의려지망(倚閭之望)

倚閭之望(의려지망) 마을 입구의 문을 바라본다. 즉, 언제 올지도 모르는 자식을 동구 밖까지 나와 기다리는 어머니의 마음을 표현. - 전국책(戰國策)_ 齊策篇(제책편) - 제(齊)나라 왕손가(王孫賈) 어머니의 고사. 女朝去而晩來, 則吾倚門而望(여조거이만래, 즉오의문이망) 네가 아침에 나갔다가 돌아오는 게 늦으면 나는 문에서 기다리고, 女莫出而不還, 則吾倚閭而望(여막출어불원, 즉오의려이망) 네가 저물녘에 나갔다가 돌아오지 않으면 나는 동구 밖에서 기다린다.

고사성어(故事成語) 2018. 5. 8. 07:43

언청계종(言聽計從)

言聽計從(언청계종) 이야기하면 들어주고 계책(計策)을 세우면 쓴다는 뜻으로, 매우 신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기(史記) 회음후(淮陰侯)열전 - 모든 인간관계에서 믿음이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신뢰는 강제에 의해 이뤄지지 않는다. 공자도 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신뢰라 했다. 개인 뿐 아니라 조직의 상하관계에서 신뢰가 있으면 능력이 배가된다.

고사성어(故事成語) 2018. 5. 4. 08:54

교병필패(驕兵必敗)

驕兵必敗(교병필패) 강병을 자랑하는 군대나 싸움에 이기고 뽐내는 군사는 반드시 패한다는 뜻. - 한서열전(漢書列傳)_ 위상전(魏相傳) - 기원전 68년 지금의 신장(新疆)에 있는 차사(車師)라는 지역에 흉노가 쳐들어왔다. 선제(宣帝·BC91~BC49)가 조정 대신들을 불러 대책을 논의했다. 조충국(趙充國) 장군이 ‘즉각 군대를 파견해 반격을 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른 대신들의 의견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승상이었던 위승(魏丞)이 ‘전쟁은 안 될 일’이라고 반박하고 나섰다. 반고(班固·AD 32~92)의 『한서(漢書)』 위상전(魏相傳)이 전하는 위승의 주장은 이랬다. “가뭄과 흉년, 그리고 관리들의 부정부패로 백성의 삶이 피폐했습니다. 지금은 내치에 힘써야지 차사와 같은 작은 지역에 연연해 전..

고사성어(故事成語) 2018. 5. 2. 10:27

불협장 불협귀 불협형제 이우(不挾長 不挾貴 不挾兄弟 而友)

不挾長 不挾貴 不挾兄弟(불협장 불협귀 불협형제)벗과 사귐에 있어서 나이가 많음을 내세우지 말며, 귀한 신분임을 내세우지 말며, 형제나 집안이 권세 있음을 내세우지 말라. 友也者 友其德也 不可以有挾也(우야자 우기덕야 불가이유협야)친구를 사귄다는 것은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덕을 사귀는 일이다.벗이란 원래 그 사람의 덕을 인정하고 그것을 벗으로 삼아야 한다. - 맹자(孟子) -

고사성어(故事成語) 2018. 4. 27. 08:49

시안견유시 불안견유불(豕眼見惟豕 佛眼見惟佛)

豕眼見惟豕 佛眼見惟佛(시안견유시 불안견유불) '돼지 눈으로 보면 세상이 돼지로 보이고, 부처 눈으로 보면 세상이 부처로 보인다'는 뜻 - 무학대사(無學大師) -

고사성어(故事成語) 2018. 4. 24. 08:09

무기인야 (無棄人也)

無棄人也(무기인야) 천하에 버릴 사람은 없다. 박연은 세종 13년 임금에게 상소하는 내용을 보면 "옛날 제왕들은 모두 맹인을 악사로 삼아서 거문고를 타면서 시를 읊는 임무를 맡겼으니, 그들은 눈이 없어도 소리를 잘 살피기 때문입니다. 또한 세상에 버릴 사람은 없습니다." 이미 시대에 쓰임이 되고 있는바 국가에서 그들을 돌보는 것은 당연하다고 주장한다. - 세종실록(世宗實錄) -

고사성어(故事成語) 2018. 4. 20. 07:34

지족이조모 재족이립사(智足以造謀 材足以立事)

智足以造謀 材足以立事(지족이조모 재족이립사) 지혜가 있어야 큰 일을 도모할 수 있고, 재능이 있어야 일을 이룰 수 있으며, 忠足以勤上 惠足以存下(충족이근상 혜족이존하) 충성심이 있어야 윗사람을 섬길 수 있고, 혜택을 베풀어야 아랫사람을 거느릴 수 있다. - 韓愈(한유) -

고사성어(故事成語) 2018. 4. 18. 08:17

예술

그림은 침묵의 시이며 시는 언어적 재능으로 그려내는 그림이다. Painting is silent poetry, and poetry is painting with the gift of speech. - 시모니데스(Simonides) -

고사성어(故事成語) 2018. 4. 13. 08:4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 24
다음
TISTORY
아크랑스 ACRANX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