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성학려(風聲鶴唳)
2017.09.26 by hitouch
불행유기(不幸由己)
2017.09.25 by hitouch
타인지연왈리왈시(他人之宴曰梨曰枾)
2017.09.23 by hitouch
희로불형어색(喜怒不形於色)
2017.09.22 by hitouch
도수이불 행불지(道雖邇不 行不至)
2017.09.21 by hitouch
하석상대(下石上臺)
2017.09.20 by hitouch
전사불망후사사(前事不忘後事師)
2017.09.19 by hitouch
방관자심 당국자미(旁觀者審 當局者迷)
2017.09.18 by hitouch
風聲鶴唳(풍성학려) 바람 소리와 학이 우는 하찮은 소리만 들어도 두려워 떤다는 뜻으로 겁을 먹은 사람이 하찮은 일에도 놀람을 이르는 말. - 진서(晉書)_ 사현전(謝玄傳) - 오호십육국 중 전진(前秦)의 3대 임금인 부견(符堅)이 백만 대군을 끌고 동진(東晉)을 쳐들어오자 동진의 효무제는 8만 군사를 이끌고 회수(淮水)와 비수(淝水) 사이에 있는 수양(壽陽)에서 대치했다. 부견은 수양성에 올라가 상대의 군세를 살피다가 안색이 변했다. 동진의 군대가 질서정연하고 위세가 당당해서 두려움을 느꼈기 때문이다. 이윽고 동진의 군사가 강을 건너오자 부견의 군사는 지레 겁을 먹고 도망치기 시작했다. 당시의 상황을 사현전은 이렇게 묘사하고 있다. 부견의 군사가 무너지면서 도망치다 밟혀 죽거나 강에 빠져 죽은 사람이 헤..
고사성어(故事成語) 2017. 9. 26. 07:55
不幸 由己 何不自反(불행 유기 하불자반)불행은 모두 나에게서 말미암은 것이니 어찌 스스로 반성하지 않으리오.- 이제현_ 익재집(益齋集) - 不怨天不尤人(불원천불우인)인생의 불행에 대하여 하늘을 원망하지도 말고 남을 탓하지도 말라.- 중용(中庸) - 다가온 불행에 대하여 자신의 반성이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하며,인생의 불행에 대하여 하늘도 남도 탓하지 말라는 의미. 세월의 변화에 휘둘리지 않고 살아가는 자기 성찰이 필요한 시대이기도 하다.
고사성어(故事成語) 2017. 9. 25. 07:37
他人之宴曰梨曰枾(타인지연왈리왈시) 남의 잔치에 배 놓아라 감 놓아라 한다는 뜻으로, 남의 일에 공연히 쓸데없는 참견(參見)을 한다는 뜻. - 이담속찬(耳談續纂) -
고사성어(故事成語) 2017. 9. 23. 00:15
喜怒不形於色(희로불형어색)기쁨과 노함을 얼굴에 나타내지 않는다. - 삼국지 - 언제나 담담한 얼굴로 사태에 대처한다는 뜻으로 특히 리더에게 교훈이 되는 말이다. 유비는 '말수가 적고, 언제나 낮은 자리에 있기를 좋아했으며, 희로를 얼굴에 나타내지 않았다'는 것이니 리더로서의 장점을 세 가지나 갖고 었었다. 이런 장점은 특히 위기에 처했을 때에 발휘된다. 조직이 위기에 몰릴 때 부하들은 반드시 윗사람이 어떤 태도를 취하는지 그 안색부터 살피게 마련이다. 그런 때에 윗사람이 동요를 일으키거나 좌불안석이 되면 조직 전체가 흔들린다. 그렇다고 리더가 조직의 존립을 생각한다며 지나칠 정도로 냉랭함만 견지 한다면 그 또한 조직을 냉각시키기만 할뿐 절대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리더에게는 냉철한 판단력과 함께 ..
고사성어(故事成語) 2017. 9. 22. 08:40
道雖邇不 行不至(도수이불 행불지) 길이 비록 가까우나 가지 않으면 이르지 못하고, 事雖小不 爲不成(사수소불 위불성)일이 비록 적으나 하지 않으면 이룰수 없다. - 순자(荀子)_ 수신편 -
고사성어(故事成語) 2017. 9. 21. 08:51
下石上臺(하석상대) 아랫돌 빼서 윗돌 괴고, 윗돌 빼서 아랫돌 괴기라는 뜻으로, 임기응변(臨機應變)으로 어려운 일을 처리(處理)함을 말함.
고사성어(故事成語) 2017. 9. 20. 07:16
前事不忘後事師(전사불망후사사) 앞에 있었던 일을 잊지 않으면 뒤의 일을 그르치지 않게 된다.
고사성어(故事成語) 2017. 9. 19. 07:44
旁觀者審 當局者迷(방관자심 당국자미)옆에서 보는 사람의 판단은 공평하고, 직접 일을 담당하는 사람은 도리어 판단을 잘 못 한다는 말. 자신의 원칙과 소신을 근간에 두고, 주변의 다양한 견해를 귀 기울여 듣고, 取捨選擇(취사선택)하는 中庸(중용)의 길, 제삼의 길이 필요하다. - 서경(書經)_ 通俗編(통속편) -
고사성어(故事成語) 2017. 9. 18. 1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