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누우면 언제나 나는 당신에게 말했지요, ‘다른 사람들도 우리처럼 서로 어여삐 여기고 사랑할까요? 남들도 정말 우리 같을까요?’” 16세기에 안동 유생 이응태의 부인 ‘원이 어머니’가 한글로 써서 남편 무덤에 넣은 편지의 한 구절이다. 산 사람에게 보낸 것이라면 ‘연애편지’라고 해야 하겠지만, 죽은 사람에게 보낸 편지이니 뭐라고 해야 할까? 원이 어머니는 남편이 살아 있을 때에도 저런 편지를 보냈을까? 옛날에는 부부 사이에 ‘연애편지’를 주고받는 일이 흔했을까? 배우자에 대한 감정을 ‘연애감정’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 결혼은 연애의 종결인가 연속인가?
이성에게 끌리는 것이야 모든 동물의 본능이지만, 그것을 ‘사랑’이라는 감성으로 승화시켜 일정 기간, 또는 평생 동안 특정 상대에게 고정시키는 것은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일이다. 일단 짝이 되면 평생을 함께하는 동물종이 일부 있으나, 그것들이 ‘사랑’으로 묶였다고 할 수는 없다. 사랑은 동물적 본능에 결박된 원초적 감정이 아니라, 그것을 가꾸고 다듬어 이룩한 인간만의 감성이다.
사랑이 본능이라면 모든 사람이 사랑에 능할 테지만, 사실은 서툰 사람이 훨씬 많다. 그럼에도 인류 역사 대부분의 기간 동안, 미혼 남녀 간의 사랑은 가르침과 배움의 영역 밖에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남녀 간의 사랑을 다룬 불후의 고전으로 평가받는 <춘향전>도, 사랑이 싹트고 자라며 결실을 맺는 과정에 관한 서사는 뭉개져 있다고 보는 편이 옳을 것이다.
20세기 초부터, 미혼 남녀 간의 사랑과 연애에 관한 콘텐츠가 쏟아져 나왔다. 1923년에 출간된 연애편지 모음집 <사랑의 불꽃>은 당대 최고의 베스트셀러였다. 젊은이들은 연애 콘텐츠를 보면서 내면의 사랑을 일깨웠고, 연애편지를 쓰고 읽으면서 사랑의 감성을 다듬었다. 그럼에도 오랫동안 ‘사랑’은 글로는 쓸 수 있으나 말로는 할 수 없는 특별한 단어였다. 그런데 요즘 사람들은 말과 동작으로 사랑을 표현하는 데에 거리낌이 없다. 현대인은 ‘사랑’을 말로 표현할 줄 아는 사람이다. 현대인들의 사랑 표현이 더 정교해지고 잦아진 것은 의심할 나위 없으나, 사랑이 더 깊어졌는지는 모를 일이다.
- 전우용_ 역사학자 -
[ACRANX 아크랑스]
Chopin_ Nocturne E Flat Major Op9 No2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0) | 2018.02.02 |
---|---|
지적도 (0) | 2018.02.01 |
넛지효과(nudge effect) 안전관리 (0) | 2018.01.29 |
유리창 (0) | 2018.01.29 |
1:10:100의 법칙 (페덱스 이론) (0) | 2018.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