云官行私曲失時悔(운관행사곡실시회)
벼슬아치가 사사로운 일을 행하면 벼슬을 잃을 때 뉘우치게 되고,
富不儉用貧時悔(부불검용빈시회)
돈이 많을 때 아껴 쓰지 않으면 가난해졌을 때 뉘우치게 되고,
藝不少學過時悔(예불소학과시회)
재주를 믿고 어렸을 때 배우지 않으면 시기가 지났을 때 뉘우치게 되고,
見事不學用時悔(견사불학용시회)
일을 보고 배우지 않으면 필요하게 되였을 때 뉘우치게 되고,
醉後狂言醒時悔(취후광언성시회)
취한 뒤에 함부로 말하면 술이 깨었을 때 뉘우치게 되고,
安不將息病時悔(안불장식병시회)
몸이 건강했을 때 조심하지 않으면 병이 들었을 때 뉘우치게 된다.
- 명심보감_ 存心篇(존심편) -
형왕즉영곡 형직즉영정(形枉則影曲 形直則影正) (0) | 2017.06.22 |
---|---|
심한신자한(心閒身自閒) (0) | 2017.06.21 |
지상매괴(指桑罵槐) (0) | 2017.06.19 |
소미연 (燒尾宴) (0) | 2017.06.16 |
관태어환성 병가어소유(官怠於宦成 炳加於小癒) (0) | 2017.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