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랑스 ACRANX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아크랑스 ACRANX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N
    • NEWS
    • 오늘의탄생화
    • 좋은 글
    • 고사성어(故事成語)
    • 오늘의 시(詩) N
    • 탈모 관리
    • 멋진 글
    • 어록
    • 사설 칼럼
    • 아하, 그렇군요!
    • 책(冊)보세(一週一冊)
    • 유 머
    • 식약동원(食藥同源)
    • 건 강
    • 일 상
    • 산 행
    • 이벤트
    • 쇼 핑
    • 판촉 특판

검색 레이어

아크랑스 ACRANX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겸손

  • 진실

    2018.02.06 by hitouch

  • 응립여수 호행사병(鷹立如睡 虎行似病)

    2017.09.29 by hitouch

  • 총욕불경(寵辱不驚)

    2017.08.04 by hitouch

진실

진실의 가장 큰 친구는 시간이고, 진실의 가장 큰 적은 편견이며, 진실의 영원한 반려자는 겸손이다. The greatest friend of Truth is time, her greatest enemy is Prejudice, and her constant companion is Humility. - 찰스 칼렙 콜튼(Charles Caleb Colton) -

어록 2018. 2. 6. 00:03

응립여수 호행사병(鷹立如睡 虎行似病)

鷹立如睡 虎行似病(응립여수 호행사병) 매는 앉아 있으나 조는 듯하고, 범은 걸어 가지만 병든 듯하니 正是他攫人噬人手段處(정시타확인서인수단처) 바로 이와 같은 것이 사람을 붙잡아 두고 사람을 내 사람으로 쓰는 수단이다. 故君子要聰明不露 才華不逞(고군자요총명불로 재화불령) 그러므로 참됨을 공부하는 사람은 "자신의 총명함을 드러내지 않고 재주를 나타내지 말아야 한다" 纔有肩鴻任鉅的力量(재유견홍임거적역량) 이것이 곧 어깨가 넓어 세상의 큰 짐을 짊어질 수 있는 역량인 것이다. 짖는 개는 무시하되 묵묵히 있는 개는 조심하라. 짖는 개는 물지 못하는 까닭이다. 족제비가 살쾡이를 만나면 이빨을 내세운다. 살쾡이가 사냥개를 만나면 이빨을 드러내고 으르렁 거린다 족제비가 살쾡이에게 허세를 부리는 것이고, 살쾡이도 사냥개..

고사성어(故事成語) 2017. 9. 29. 11:43

총욕불경(寵辱不驚)

寵辱不驚(총욕불경)총애와 모욕을 조금도 개의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이해와 득실을 마음에 두지 않음을 이르는 말. - 노자_ 도덕경(道德經) - 일반적으로 총애를 받아 기쁘기도 하지만 마음 한 구석에 불안한 느낌이 드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된다. 여기에는 복(福)이란 화근(禍根)이 되기도 하는 것이므로 총애를 받더라도 겸손함을 잃지 말아야 한다는 경계의 의미가 담겨 있기도 하다. 때로는 총애나 칭찬을 받고서 좋아하여 어쩔 줄 모르는 모습을 비아냥거리는 말로 사용되기도 한다. 근원적으로 화복을 이원적으로 바라보지 말고 양면을 동시에 바라봐야 한다.

고사성어(故事成語) 2017. 8. 4. 10:2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아크랑스 ACRANX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